지난 금요일 하루 종일 TV와 시청앞 광장을 왔다갔다 했다. 출근은 했지만 도무지 일이 손에 잡히지 않았다. 요즘은 언뜻 사람들이 일상으로 돌아간 듯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은 내부로 스미는 것같다. 나 역시도... 어제 대학시절 편지를 내어 본 것은 그때 내가 꾸었던 꿈과 이상을 확인하고 싶었기 때문이다.
회사에서 내려다 보면 시청앞 광장이 보인다. 그날, 7시 50분 시청앞 광장이 열리자 덕수궁쪽의 사람들이 몰려왔고 오전 10시가 되자 그 광장은 사람들로 가득찼다. 태평로 양쪽으로 폴리스 라인이 설치되고, 사람들은 차도로 올 수 없도록 되어 있었지만 곧 무너지고 말았다. 사람들이 너무 많았던 것이다. 딴에는 저 사람들을 뚫고 어떻게 영구차가 지나올까 걱정이 되었다.
예정된 시간을 넘겨 노제가 시작되었다. 몇몇 사람들이 노래를 불렀지만, 양희은의 노래는 온 세상을 울리는 것같았다. 끝내 이기리라.. 라고 하는 노래가 울려퍼질 때 가슴이 찡하면서 모두가 우는 듯했다. 도종환 시인이 마지막으로 외쳤다. 당신을 사랑합니다. 당신을 영원히 잊지 않겠습니다...
광장에 내려갔다가 또 회사로 올라와서 TV를 보다가 또 다시 내려갔다. 때는 두시 반 쯤 되었나. 행렬이 시작되었다. 애당초는 서울광장까지 행진을 한다고 했다. 남대문로쯤 갔을 때는 차량 통제가 제대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YTN위에서 노란 종이가 내려왔다. 시민들이 그것을 보고 또 박수를 쳤다.
서울 광장앞에 도착한 행렬은 공사장을 사이에 두고 옆으로 흩어지기 시작했다. 처음에는 이명박 퇴진 구호를 외치기도 했지만, 군중 속에서 그러한 구호에 반대하는 목소리도 있었다. 그야 말로 '순수한' 조문 행렬을 원한 사람이었을게다. 곧이어 "노무현 대통령"이라는 연호가 시작되었다. 한참을 가다 보니, 영구차가 바로 내 옆에 있었다. 손을 내밀지 못했지만, 아쉽기만 했다.
너무 오래 시간을 비워, 곧 회사로 돌아오니 영구차는 사람들때문에 몇 백미터를 가지 못하고 있었다. 몇 시간이 지나서 6시가 다 되어서야 삼각지 부근에서 원효로로 빠졌다가 성남으로 갈 수 있었다고 한다.
그날 역사의 현장은 그렇게 지나갔다. 아직도 나는 그의 죽음이 믿어지지 않는다. 어떻게 나의 나라에서, 그런 일이 있을 수 있단 말인가. 요즘 또 다시 버스 장벽에 둘러쌓인 서울광장을 보며, 한탄을 금치 못한다.
나는 박정희 대통령 시절에 태어났다. 10.26이후 학교 등교를 하면서, 내가 아주 어렸을 때임에도 불구하고 그날 대통령이 죽었다는 얘기에 울면서 학교를 간 기억이 있다. 그 이후, 최규하 대통령,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이렇다. 내가 대통령 선거권을 갖게 된 것은 물론 김대중 대통령이 대권에 도전하고 실패하여 정계은퇴선언을 했을 무렵이었을 것이다. 나는 내 나름의 전략적 투표를 해서, 당선자를 찍은 적은 한번도 없다. 아니, 어쩌면 김대중 대통령이 당선되었을 때 그를 찍었는지 모르겠다. 그리고 2002년에는 미국에 있어서 투표권을 행사하지 못했다.
누가 대통령이 되었다 하더라도, 내 인생에서 보면... 전두환은 그래도 자신이 선거를 통해서 정권이양을 하겠다는 약속을 지켰고 양김씨의 분열로 노태우가 당선되었고, 좌절했다. 하지만 그때는 동서 냉전이 무너지고, 우리의 반공이데올로기도 조금 벗어날 수 있었다고 생각이 된다. 91년 남한과 북한이 동시에 두개의 국가로 유엔에 가입하였다. 심각한 자기 중심적 사고를 지닌 김영삼 대통령이 되었을 때는 완전한 문민정부가 이루어지고, 87년의 충격에서 벗어나 민주화의 공고화를 이야기할 때였다. 그 이후 김대중, 노무현 대통령이다.. 내 삶의 역사에서 그래도, 후퇴는 없었다. 적어도 우리 정치체계는 모두가 싸웠고 그래서 우리 동시대인들이 쟁취한 민주화의 역사였다.
노무현 대통령의 죽음은 그 정신에 대한 수구세력의 테러를 상징한다. 참을 수 없다. 사회에 대한 전망을 하는 사람들은 곧, HIT나 오늘 서울대교수 시국선언장에 몰려간 사람들의 예를 들며... 백색테러가 난무하는 사회가 될 것이라고 한다. 내 생각에도 그럴 가능성이 상당하다. 우리가.. 지금 멈추어, 절망하여, 좌절하여 싸움을 그만둔다면.. 사회는 9.11 이후 미국 사회가 그랬던 것처럼 정체를 잘 알지 못하는 공포의 시대로 접어들 지 모른다.
누군가는 조선시대를 얘기하고, 누구는 6.25를 얘기하고, 또 어떤 이는 노무현 대통령 서거 후 사회가 극심한 분열을 일으켰다고 한다. 언제가 되었건, 중요한 것은 반드시 우리 손으로 이러한 분열 양상을 끝내야 한다는 것이다.
다시.. 싸우자. 반드시.. 이겨내자. 지금은 국가권력보다는 때로 언론과, 막강한 시장권력이 세상을 지배하는 듯할 때가 많아 싸움의 전선이 다양화되었다고 할 수 있을테지만, 힘겨운 싸움이라 해도 하지 않을 수 없다. 반드시.. 끝내 이기리라.
'생각하기 > extrove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혜의 아홉기둥과 국가인권위원회 (0) | 2009.07.09 |
---|---|
인권위원장 이임사 (0) | 2009.07.08 |
오늘이 지나면 (0) | 2009.05.29 |
독립성을 걷어찬 검찰 (0) | 2009.05.26 |
哀歌 (0) | 2009.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