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빼앗긴대지의꿈
|
카테고리
|
정치/사회 > 사회복지 > 사회문제 > 인권문제
|
지은이
|
장 지글러 (갈라파고스, 2010년)
|
상세보기
|
|
|
쟝 지글러의 책은 얼마전 인기리에 방영된 '시크릿가든'에서 우리 주원이가 꼼꼼하게 읽고 있던 책,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가 소개된 바 있다. 이 책은 여러군데에서 우수 도서로 선정되어, 제법 팔린 책이다.
쟝 지글러는 유엔인권위원회(지금은 인권이사회가 된 옛날 기구) 의 식량권(right to food)담당 특별보고관으로 임명되어 활동하면서, 개인의 권리로서 식량에 대한 권리에 대한 연구, 조사, 국가 방문을 통해 한 국가 내 사람들의 식량권을 보장하는 것이 잘 되지 않는 이유, 한편으로 식량을 보장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의 이면에 있는 얘기들을 풀어내었다. 이 책은 아버지가 아들에게 얘기하는 톤을 취하고 있고, 짧은 글로서 구성되어 있어 언뜻 어렵지 않으나 그 뒤에 숨겨진 주장, 논리는 결코 간단치 않은 것들이다.
그 후 빼앗긴 대지의 꿈은 더욱 어려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바로 '기억'과 '미래'의 문제이다. 서구는 제국주의의 기억을쉽게 잊었고, 그 망각은 인종차별적이다. 바로 유태인의 경우와 비교해보면 안다. 여하간 노예무역을 통해 국가의 지도자로 올라간 사람들의 자손대대 후손들이 유럽 사회의 지도자가 되고, 그들의 이름이 아름다운 프랑스 보르도 거리 이름곳곳에 남아 있고.. 그런 무심함을 드러내는 통에,
노예무역의 피해자가 되고, 식민지배를 당하고, 인종차별을 당하고 했던 제 3세계 사람들의 기억과 상처가 더욱 썩어 문드러지는 통에, 규범적 차원에서 인권의 발전을 논하는 국제사회의 장이 국제정치 현실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진단에서 이 책은 출발한다.
그리고, 그 문제점들이 첨예하게 드러나는 국가의 사례로서 나이지리아가 등장하고, 그에 대한 해결, 혹은 희망의 전초를 보여주는 국가로서 볼리비아가 등장한다. 그의 볼리비아에 대한 설명을 듣노라면 볼리비아 대통령 에보 모랄레스의 인디언식 대통령 취임식 묘사는 그야 말로 눈물을 자아낸다. 그의 시도가 성공할 수 있을까. 우리는 보통, 이미 세계화되어있고 자본과 세계은행, IMF가 결탁하고 다국적 기업의 이익이 한 국가의 권한을 지배해버리고 마는 현 상황에서 쉽게 낙담하곤 하는데, 과연 볼리비아 개혁은 성공할 수 있을까.
지글러의 책 속에는 국제 인권, 외교계의 면면, 일이 이루어지는 방식과 아름답고 거대하나 언제나 공허한 언어로 들리는 아름다운 인류의 지향이 실제 말하는 바가 무엇인지, 속칭 세계 정부로 일하는 유엔이 얼마나 균형을 상실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나는 우리 사회에서는, 이렇게 국제인권에 대한 이해가 그저 맹아의 단계에 불과한 상황에서는 냉정하고 현실적인 이해의 단초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이 책이 마음에 들었다.